美 Novavax, 코로나 19 중화항체 (neutralizing antibody) 백신 임상 결과 긍정적
미국 제약회사인 노바백스는 미국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에 대한 임상 1상시험 결과, 임상시험 참가자들에게 부작용이 적었고 결과가 긍정적이었다고 4일(현지 시각) 밝혔다.
- 임상 1상 (clinical trial- phase 1): 후보 약물의 용량을 결정하고 독성 여부, 체내 약물의 동태 관찰하는 단계. 주로 안전성을 확인한다. 이때에는 환자가 아닌,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임상 2상 (clinical trial- phase 2): 후보 약물이 인체 내에서 예상한 대로 작용을 하는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지 등을 확인한다. 부작용은 승인 전까지 (후에도) 임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 체크한다.
- 임상 3상 (clinical trial- phase 3): 대상 인원을 늘려서 다양한 경우에서도 잘 작용하는지, 기존의 비슷한 다른 약물에 비해 더 나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 임상 4상 (clinical trial- phase 4): 시장 감시. 이전에 발견하지 못한 심각한 부작용이 발견된다면 판매중지, 퇴출된다.

<결과>
18-59세 건강한 성인 131명을 대상으로 중화항체 후보 물질(NVX-CoV2373)을 2 가지 용량 (5 및 25 µg)으로 투여하는 방식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한 결과 대부분 참가자의 체내에서 중화역가와 CD4+T세포의 활성화의 유도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25 ug 투여 후에, 참가자의 100 %가 wild-type (야생형) 바이러스 중화 항체 반응을 하였다.
<부작용>
5 ug 투여 시: 통증이 가장 빈번한 국소 증상, 두통, 피로 및 근육통은 덜 빈번함.
25 ug 투여 시: 대부분의 증상이 1등급 (경미한 부작용)으로 보고됨. 평균 발생 기간은 2일 이하.
중증, 심각한 이상반응은 없었음.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미하며 백신 접종과 관련이 없는 것
<기타 후보 약물 정보>
NVX-CoV2373은 안정적 (stable)이며 2 ~ 8 ° C (냉장보관)에 보관할 수 있는 액체 제제
Gregory M. Glenn, M.D., President, Research and Development at Novavax
"임상 1상 데이터는 NVX-CoV2373이 강력한 면역원성 프로파일을 가진 COVID-19 백신임을 보여줍니다."
중화항체 (Neutralizing antibody) 치료제는 일반적인 백신과는 달리, 한 번 투약으로 지속력이 길지 않다.
그리고 바이러스가 돌연변이가 될 경우 중화항체를 인식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 될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중화항체란 말 그대로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 표적으로 하여 바이러스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로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데, 그 부위에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중화항체가 인식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항체 치료제에 대한 임상 1상 결과는 희소식이지만, 아직 단지 1상이므로 섣부른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보고 싶었는데, medRxiv 저널에 submit 한 상태인 듯하다.
Novavax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서 연구결과를 볼 수 있었다.
참고로 medRxiv저널은 공식적인 peer review 없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게재하는 bullet journal이다.
그러나 이 저널을 통해 다른 연구자들의 코멘트를 자유롭게 받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수준은 결코 낮지 않다.
얼른 COVID-19 백신이 나와서 예전과 같은 일상이 돌아왔으면 한다.
참고문헌: Novavax 홈페이지 (https://ir.novava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novavax-announces-positive-phase-1-data-its-covid-19-vaccine)
'실험실 밖 과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신 부작용 '발열' - '타이레놀' 아닌 '다른 약' 알아보기 (0) | 2021.06.14 |
|---|---|
| 생리통의 원리/증상별로 다르게 먹는 생리통약 (0) | 2021.05.29 |
| 암세포의 증식을 도와주는 이웃세포들 - 종양 미세환경 (0) | 2020.07.21 |
| 세포가 스스로 살아가기 위한 전략 - 오토파지(Autophagy) (0) | 2020.07.17 |